728x90 반응형 천간2 사주명리학(사주팔자) 공부하기_#5.십이운성 십이운성은 천간과 지지가 만났을때 천간의 상태(에너지의 강약)를 보는 방법입니다. 천간이 각 지지를 만났을때의 상태를 인간의 생노병사와 윤회사상에 대입하여 12단계로 표현한 것입니다. 다른 말로는 포태법이라고도 합니다. 제가 공부할때는 포태법이라는 표현을 더 많이 사용했었습니다. 오늘은 사주명리학 공부하기 5번째 시간으로 십이운성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십이운성이란? 십이운이란 사람이 생노병사하는것과 같이 천간에 대한 생노병사를 표시하는 방법이라고 할수 있습니다. 앞에서 천간은 싹이고 지지는 뿌리라 한다고 했었습니다. 뿌리가 없는 싹은 허약하고 뿌리가 있는 싹은 튼튼한것이 상식입니다. 같은 뿌리라 해도 그 힘이 어느정도 강하고 약한것을 표시한 힘의 저울눈을 12운성이라고 할수 있습니다. 이저울눈은 사주.. 2022. 4. 9. 사주명리학(사주팔자) 공부하기_#4.육친론, 십신론 사주명리학 공부하기 네번째시간 육친론, 십신론에 대해서 공부해 보기로 하겠습니다. 이제 점점 어려워지는 개념이고, 복잡한 개념들이 시작될 것같습니다. 어렵더라도 그냥 이런게 있구나 하시면서 흐름만 따라오셔도 좋을것 같습니다. 처음 접하는 분들이 한번에 이해하기 어려운 철학적 개념입니다. 10년이상 공부해도 이해하기 어려운 수백만가지의 경우의 수를 가진 학문이니 어렵다고 생각되시더라도 여러번 읽어보면서 이런저런 생각을 해보시면 재미있는 부분이 많다고 개인적으로 생각합니다. 또 서론이 길었습니다. 이제 한번 공부를 시작해 보겠습니다. 육(친)신론 이란? 앞에서 처음에 음양과 오행(목화토금수)을 배웠고, 이후에 천간(갑을병정무기경신임계), 지지(자축인묘진사오미신유술해)를 배웠습니다. 천간과 지지도 음양으로 구.. 2022. 3. 29. 이전 1 다음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