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러분은 두나무에 대해서 들어보셨나요? 2012년 설립된 후 10년만인 2022년에 자산총액이 10조원이 넘어서며 대기업에 지정되었습니다. 공정위가 공시대상 기업집단(준대기업)과 상호대출제한 기업집단(대기업)을 나누어 지정한 2017년 이래 준대기업 지정을 건너뛰고, 단숨에 대기업으로 지정된 것은 두나무가 첫 사례라고 합니다. 또한 암포화폐 기업이 대기업에 지정된 것도 처음이라고 합니다. 오늘은 두나무(Dunamu) 대기업에 대해서 알아보고자 합니다.

두나무 기업 History
두나무는 어떻게 대기업이 되었을까?
많은분들이 아시는것처럼 두나무는 국내 최대 가상화폐 거래소인 "업비트(UPBIT)" 를 운영하는 회사입니다. 그럼 두나무라는 회사는 어떤 기업 구조를 가지고 있을까요? 먼저 아래 그림을 참조해주세요~!
두나무는 22년 4월 그룹사 자산이 10조원을 넘기며 대기업으로 지정되었습니다. 네이버, 카카오처럼 IT 기업으로 대기업 반열에 오른 기업입니다. 현재 두나무의 국내외 계열사는 두나무 포함해서 총 14개입니다. 그중에서 업비트가 전체 매출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21년 기준 99.47%로 Main 으로 보시면 됩니다.
두나무는 현재의 매출 편향을 개선하기 위해서 금융보다는 비금융쪽으로 계열사를 확대하고 있으며, 가장 대표적인 부분이 NFT 사업입니다. Levvels 는 하이브와 공동으로 설립한 NFT 대표 사업입니다.
* 국내 4대 가상화폐 거래소 현황 및 매출, 영엽이익 비교
두나무는 대한민국의 블록체인 가상자산거래 및 증권거래를 서비스하는 기업입니다. 암호화폐 거래소인 업비트는 가상자산거래 시장점유율 1위를 달리고 있습니다. 2021년에는 매출 3조 7046억원, 영업이익 3조 2714억원을 기록하며 영업이익률이 무려 88%에 이르렀습니다. (영업이익률 88%, 정말 가능한 수치인가요?)
두나무는 언제 주식 상장할까?
두나무는 현재는 비상장 주식입니다. 하지만 비상장 주식도 거래는 가능합니다. 22년 8월 대략 20만원정도에 거래되고 있습니다. 21년 말기준 대략 55만원수준이었으니, 8~9개월동안 반토막 이하로 폭락한 상황입니다.
폭락의 이유는 다들 아시는 것 처럼, 미국 금리인상으로 인해 전세계 투자가 위축되어 가상화폐 거래도 21년 대비 감소되고 있기 때문입니다. 최근 2년정도 가상화폐 광풍분위기 였기 때문에, 두나무가 엄청난 수혜를 본것도 사실입니다.
가상화폐 시장은 이제 금융시장에서도 인정되고 있는 공식적인 시장으로 자리잡은 상황에서, 두나무는 언제쯤 상장할수 있을까? 두나무 송치형 회장은 기자들의 상장질문에 계속 검토중이라고 발언하고 있고, 자세한 내용은 이야기 하고 있지 않고 있습니다.
현재 미국의 금리인상 및 인플레이션 압박, 강달러 지속등으로 인해서 전세계 투자시장이 얼어붙은 상황입니다. 두나무 입장에서는 가상화폐 시장도 함께 급락한 상황이고, 그동안 얻은 막대한 자금을 유보하고 있기 때문에 주식 상장을 서두를 가능성은 없는 상황으로 판단하고 있는것 같습니다.
하지만 21년 4월에 미국 최대 가상화폐 기업인 " 코인 베이스 " 가 나스닥 상장에 성공했기 때문에, 두나무도 국내뿐만 아니라 나스닥도 저울질 하고 있을 것으로 생각됩니다.
(최소한 투자분위기가 다시 살아나야 상장 가능할듯 싶습니다. 조심스럽게 2024년 상장을 예상해 봅니다. ^^)
두나무의 성장 가능성 및 투자 의견
두나무의 성장 가능성에 대해서는 개인적으로는 긍정적으로 생각합니다. 하지만 지금 투자하는 것에 대해서는 중립적으로 말씀드리고 싶습니다.
두나무의 성장성은 가상화폐의 대장인 " 비트코인 " 과 " 이더리움 " 가격 상황 및 거래량과 연관성이 매우 높을 것입니다. 투자에 관심이 있으신 분이라면, 위의 두개의 코인에 대해서 분석해 보시고 투자하시면 좋을것 같습니다.
* 투자는 투자자 본인의 책임이며, 기업의 주인이 된다는 마음으로 장기, 분산 투자 하시길 권해 드립니다.
'재테크(주식,ETF 등)'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삼성전자 ' RE100 ' 선언 어떤 의미 일까? (2) | 2022.09.20 |
---|---|
SK 하이닉스 주가 전망 - 부진한 반도체 경기속 전망 (9) | 2022.09.19 |
[부동산 전망] 부동산 가격 하락 당분간 계속될 수 밖에 없는 이유 (10) | 2022.09.18 |
미국 금리 - FOMC 위원들의 최근 발언들 (9月) (2) | 2022.09.03 |
미국 증시 및 금리 전망 - 고용시장 보다 먼저 둔화 되고 있는 주택시장 (5) | 2022.09.02 |
댓글